[뉴스큐브] '생활 속 거리 두기' 첫날…방역지침 실효성은?<br /><br /><br />3월 22일부터 어제까지 45일간 이어진 '사회적 거리 두기'가 '생활 속 거리 두기'로 전환하는 첫날입니다.<br /><br />국민들이 스스로와 사회를 보호하기 위해 지켜야 할 기본수칙은 유지해야 합니다.<br /><br />새로운 일상을 위해 세분화된 수칙들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두 분 모셨습니다.<br /><br />설대우 중앙대 약학대학 교수 김수민 시사평론가 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3월 중순만 해도 100여 명씩 늘던 확진자 수는 완화된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시행한 16일 동안 하루 평균 9명 수준까지 낮아졌습니다. 이런 성과를 토대로 오늘부터는 생활 속 거리 두기로 전환되는데요. 먼저 어떤 의미가 있다고 보세요?<br /><br /> 오늘부터 문을 닫았던 국립공원 야영장과 동물원의 실내시설 등이 운영을 재개합니다. 여러 사람이 모이는 만큼 방역 수칙을 준수해야 할 텐데요. 일단 단체탐방은 삼가야 하고 사람 간 거리 두기는 기본이죠? 또 어떤 점을 유의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방역당국은 폐쇄된 공간에서 오래 머물거나, 여러 사람이 모이는 자리에서 마주 보지 말 것을 권고했습니다. 음식점이나 카페, 그리고 영화관, 공연장 등에서 준수해야 할 사항들이죠?<br /><br /> 헬스장 같은 실내체육시설이나 야구장, 축구장 등을 방문이 가능해졌는데요. 운동 후 공용샤워실 이용은 자제해야 합니다. 수건이나 운동복 등도 개인용품을 사용해야겠죠? 그럼 관리자가 지켜야 할 방역지침은 어떤 게 있을까요?<br /><br /> 하지만 이런 지침들, 기본적으로 강제성이 없는 권고 사항인 데다 '아프면 쉰다', '카페·음식점에서 한 방향으로 앉는다' 또 '운동한 후 샤워실을 이용하지 않는다', 등은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입니다. 어떻게 보완하는 게 좋을까요?<br /><br /> 재택근무를 시행하던 상당수 회사가 예전처럼 출·퇴근 근무로 전환하고 황금연휴도 끝나면서 출근길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들은 크게 붐볐습니다. 대중교통 내 거리 두기는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, 마스크 착용만 철저히 하면 괜찮은 걸까요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대구시는 코로나19 위험이 아직 높아 생활 방역 전환이 불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. 특히 공공시설 등을 이용할 때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는 정책을 추진하는데요. 대구시의 행정명령 발동 논란은 없을까요?<br /><br /> 순차적 개학이 예정된 가운데, 학교 방역에도 관심이 쏠립니다. 날이 더워도 어쩌면 에어컨을 못 트는 상황이 올 수도 있습니다. 에어콘을 가동하면 바이러스가 확산되는 겁니까?<br /><br /> 지금부턴 해외 상황을 좀 짚어보겠습니다. 세계 각국이 속속 봉쇄 조치 완화에 나서고 있는데요. 이란의 경우, 봉쇄 완화 2주 만에 확진자 수가 다시 반등을 했습니다. 혹시 '봉쇄 완화'에 따른 부작용이 아니냔 분석도 나오는데,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세계 각국이 봉쇄조치를 완화하고 있는 만큼, 전 세계적으로 마스크 착용에 대한 경각심도 더욱 높아지고 있는데요. 되레 미국에선 마스크 쓰기를 거부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고요?<br /><br /> 그런데 트럼프 대통령 역시 공개석상에서 마스크를 착용한 적이 없습니다. 5일 마스크 공장 방문 때도 고글을 착용했는데요. 결국 마스크 착용 문제로 갈등이 심화하고 있는 건, 대통령의 영향도 있는 게 아니냔 해석도 나오는데, 어떻게 보십니까<br /><br /> 트럼프 대통령이 마스크 대신 고글을 착용했는데요. 고글만 착용하는 게 코로나19 방역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도 의문인데,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그런가 하면 코로나19를 둘러싼 의문의 사고들도 발생하고 있습니다. 러시아에서 코로나19 대응을 비판해온 의사들이 잇따라 추락사고를 당해 사망했다고 하는데, 어떻게 된 일인가요?<br /><br /> 특히 러시아의 경우, 의료장비 부족 등을 호소하는 의료진들과 이를 제지하려는 정부 간 갈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. 의료장비 보급 시위를 벌이는 의료진들을 경찰이 외출금지령 위반했다며 개입하는 일도 잦아졌다고 하는데요. 이런 상황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코로나19 첫 발원지를 두고도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데요. 프랑스 의사단체가 작년 말 프랑스에서 코로나19가 확산됐다는 주장을 했습니다. 현재까지 공식 보고된 코로나19 첫 감염사례는 작년 12월 31일 중국에서였는데, 프랑스 의사단체 주장이 사실이라면 발원지가 프랑스일 수도 있다는 얘긴가요?<br /><br /> 발원지를 두고 현재 미국과 중국 간에 공방이 계속되고 있는데요. WHO가 중국 발원설을 부정하는 듯한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도 보이는데, 이 같은 상황은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코로나19 백신에 30여 개국에서 지원을 약속했는데요. 무려 10조원의 기금이 3시간 만에 만들어졌습니다. 코로나19 위기에 전 세계가 단결했다고 볼 수 있을 거 같은데,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